본문 바로가기

사주팔자65

용신(用神)의 기신(忌神)은 나쁠까? 용신(用神)의 기신(忌神)은 나쁠까? 용신(用神)의 쓰임을 알려면 희기신(喜忌神)을 알아야 한다. 희신은 앞선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번엔 기신(忌神)에 대해 알아보자.  기신은 꺼릴 기(忌)를 쓰며 말 그대로 용신을 상극(相剋)하는 오행이 기신이 된다.  사주팔자에서 오행(五行)을 위주로 파악할 때 먼저 용신을 통해 하늘가 환경에 부여받은 일과 해야할 임무를 알아야 되고, 다음으로 희신과 기신을 통해 용신을 그대로 활용하는지 아니면 인위적으로 활용하는지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희신은 용신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라면 기신은 용신을 개량하여 자신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다.  용신의 기신은 2개 기신은 용신과 같은 오행이나 음양이 다른 기신과 용신을 극하는 기신 두개의 기신이 존재한다. 즉, 갑.. 2024. 8. 27.
용신(用神)의 희신(喜神)이란? 용신(用神)의 희신(喜神)이 무엇인지 알아보자.  앞선 시간에 당령용신에 따른 성격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떤 이는 용신과 자신의 성격이나 특징이 맞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성격이나 특징이 맞는 사람은 사주에 희신의 작용이 잘 되어 있는 것이고, 그렇지 않다며 희신의 작용이 잘 안되고 있다고 보면된다.  즉, 용신의 희신이란 용신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오행이라할 수 있다.  자신의 용신에 맞는 희신이 무엇인지 모르는 사람은 이전 블로그를 참고하면된다. 그것도 귀찮은 사람을 위해 간단히 정리하자면,  계갑(癸甲), 을병(乙丙), 정경(丁庚), 신임(辛壬)이 짝을 이룬다고 생각하면된다. 즉, 계수(癸水) 용신의 희신은 갑목(甲木)이 되고, 갑목(甲木).. 2024. 8. 27.
당령용신(當令用神) 특징 정리(#성격 #진로분야 등) 이전 포스팅을 통해 당령 용신(當令用神)과 희신(喜神)을 어떻게 찾는지 알아보았다.  짧게 정리하자면 당령용신(當令用神)은 24절기를 이분(춘분, 추분), 이지(동지, 하지), 사립(입춘, 입하, 입추, 입동) 8개로 나눈 팔품을 통해서 찾는다고 하였으며, 하늘과 환경으로부터 부여받은 마땅히 해야할 일이라고 하였다.   오늘은 당령용신에 따라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당령용신(當令用神) 특징 정리1. 계수(癸水) 용신  - 계수(癸水) 용신은 동지부터 입춘까지 시기를 말한다.   - 감수성이 풍부하고, 마음이 따뜻하며 혼자 생각하기를 좋아한다.  - 인간의 본질에 대한 호기심 크고 철학적인 면이 있다.    - 진로분야는 기획, 창작, 연구원, 심리상담 등에 적합하다.  2. 갑목 (甲木).. 2024. 8. 26.
24절기와 사주팔자의 관계 24절기와 사주 명리학이 어떤 관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명리학에서 사주팔자(四柱八字)란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를 나타내는데,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 기둥(柱)에 위치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총 8개 글자로 이루어 진다.  만세력에 자신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대입하여 자신의 사주팔자를 알아볼 수 있는데, 만세력을 절기(節氣)력이라고도 한다. 해가 가장 긴 시간은 하지, 해가 가장 짧은 시간은 동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입춘 등등 일기예보 등을 통해서 이런 시기에 대해 들어보곤 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절기인데, 1년을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을 일컫는다.  절기는 총 24개로 아래와 같다.   - (봄)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2024. 8. 15.
가깝고도 먼 사이 원진살(怨嗔煞) 정리 가깝고도 먼 사이 원진살(怨嗔煞) 정리 사주팔자에서 원진살(怨嗔煞)이 무엇인지, 사주팔자와 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진살은 원망할 원(怨)과 성낼 진(嗔)을 사용하여 서로를 원망하고 성내면서 죽이려든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인생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장애물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살이기도 한데요. 원진살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가깝고도 먼 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궁합을 볼때 상대방이 원진살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을 하기도 하는데요. 이는 원진살이 있을 때 의처증, 의부증이 심하다는 얘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상대방이 무엇을 하지는 않았는데, 원진살로 인해 원망하고 의심하고 다투어 결혼 생활이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사주원국 내.. 2023. 11. 26.
사주명리학, 용신(用神)이란?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찾는 법 사주명리학, 용신(用神)이란?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찾는 법 사주명리학에서 용신(用神)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용신이란 쓸 용(用)과 귀신 신(神)을 합한 글자로 내가 사용하는 기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신은 자신의 오행 중 과한 기운을 억눌러 줄 수 있는 기운을 찾는 억부용신과 사주팔자의 한난조습을 통해 살펴보는 조후용신, 그리고 오행의 상생관계를 잘 연결 시키기 위한 통관용신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용신 자평진전에서는 '월령용사지신, 팔자용신전구월령'이라하여 '용신은 오직 월령에서 구한다'고 쓰여있습니다. 또한, 적천수에서는 '인원용사지신'이라하여 월지의 지장간에서 용신을 구하고 있습니다. 이 처럼 월지에서 구하는 용신을 당령(當令)과 사령(司令)이라고 .. 2023. 11. 9.
사주명리학, 통근(通根)과 투간(透干) 정리 통근과 투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포스팅을 통해 천간, 지지,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관련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천간, 지지, 지장간 의미와 풀이방법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주팔자는 천간의 4글자와 지지 4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지지 글자 안에 숨겨진 천간이라 하여 지장간이 존재합니 lifedesign00.tistory.com 그럼 본격적으로 통근과 투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근과 투간 앞선 포스팅을 통해 지장간에 대해 잠깐 설명을 드린바 있는데요. 지장간을 해석할때 통근과 투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통근이란 천간의 글자와 같은 오행이 지지에 있는 것을 말하며, .. 2023. 10. 30.
천간, 지지, 지장간 의미와 풀이방법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주팔자는 천간의 4글자와 지지 4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지지 글자 안에 숨겨진 천간이라 하여 지장간이 존재합니다. 즉, 사주팔자는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맞는 표현일 것입니다. 사주팔자의 구성을 이해하려면 삼재지도(三才之道)라는 말을 알면 도움이 되는데요. 주역에서 나온 말로 세상의 모든 법칙은 천도, 인도, 지도가 있어 모든 법칙이 이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즉, 우주와 인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는 천원(天元), 지원(地元), 인원(人元)이며, 이를 사주팔자에서는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쓰는 것입니다. 지지 속에 들어있는 천간, 지장간(地藏干) 천간(天干) 10글자와 지지(地支) 12글자는 아는데.. 2023.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