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24절기와 사주팔자의 관계

by 나이더 2024. 8. 15.

24절기와 사주 명리학이 어떤 관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명리학에서 사주팔자(四柱八字)란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를 나타내는데,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 기둥(柱)에 위치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총 8개 글자로 이루어 진다.

 

 

만세력에 자신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대입하여 자신의 사주팔자를 알아볼 수 있는데, 만세력을 절기(節氣)력이라고도 한다.

 

해가 가장 긴 시간은 하지, 해가 가장 짧은 시간은 동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입춘 등등 일기예보 등을 통해서 이런 시기에 대해 들어보곤 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절기인데, 1년을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을 일컫는다. 

 

절기는 총 24개로 아래와 같다. 

 

 - (봄)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 (여름) 입하, 소만, 망동, 하지, 소서, 대서

 - (가을) 입추, 처서, 백로, 추분, 상강, 한로

 - (겨울)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

 

24절기를 계절별로 나누어 보았다. 


명리학에서 새해의 시작은 입춘(立春)이다. 

입춘은 양력으로 2월 3일~5일로 보는데, 명리학에서는 이 날을 새해의 시작으로 본다. 

(1년 365일을 24로 나누면 소숫점이 나오는 이유로 연마다 입춘 일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

 

올해 2024년 갑진년(甲辰年)의 명리학에서 시작은 입춘부터라는 말이다. 

만약, 소한~대한 시기 사이에 태어난 양력으로 간단히 말하면 1월 경에 태어난 사람은 사주에서 태어냔 연은 2023년 을묘년(乙卯年)이 된다. 

 

 

위 사주팔자에서 보듯이 2024년 1월 14일 태어난 사람인데 태어난 연주가 갑진(甲辰)이 아니라 을묘(乙卯)인 것을 알 수 있다. 

 

보통 지지를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라 하여 자(子)가 시작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지만, 사주 명리학에서는 인(寅)이 시작이고, 축(丑)이 한해의 마지막이 되는 것이다. 

 

또한, 명리학을 어설프게 아는 사람 중 양력 2월은 인(寅)월, 3월은 묘(卯)월 등으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는데, 이는 잘못된 것이다. 

 


12지지와 24절기

앞서 말한 24절기에 따라 명리학의 월(月)이 정해진다.

24절기에 따른 지지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인월(寅月): 입춘(2.3~5) ~ 경칩(3.5~6)

  - 묘월(卯月): 경칩(3.5~6) ~ 청명(4.5~6)

  - 진월(辰月): 청명(4.5~6) ~ 입하(5.5~6)

  - 사월(巳月): 입하(5.5~6) ~ 망종(6.5~6)

  - 오월(午月): 망종(6.5~6) ~ 소서(7.7~8)

  - 미월(未月): 소서(7.7~8) ~ 입추(8.7~8)

  - 신월(申月): 입추(8.7~8) ~ 백로(9.7~8)

  - 유월(酉月): 백로(9.7~8) ~ 상강(10.8~9)

  - 술월(戌月): 상강(10.8~9) ~ 입동(11.7~8)

  - 해월(亥月): 입동(11.7~8) ~ 대설(12.7~8)

  - 자월(子月): 대설(12.7~8) ~ 소한(1.5~6)

  - 축월(丑月): 소한(1.5~6) ~ 입춘(2.3~5)

 

매년 24절기의 양력 날자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각 절기 즈음에 태어난 사람의 사주를 볼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가장 중요한 월지가 틀어져 버리면 사주 자체가 틀린다고 봐야 한다.) 

자평진전(子平眞詮)에는 "월령용사지신(月令用事之神), 팔자용신전구월령(八字用神專求月令)"이라고 하여, 사주팔자의 용신(用神)은 모두 월령에서 구한다고 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월령이 결국 월지인데, 24절기와 지지의 관계를 잘 알아두는 것이 사주 명리학 공부에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