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근묘화실론: 초년부터 말년까지의 인생이야기
사주명리학, 근묘화실論(根苗花實論)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묘화실의 글자를 풀어 보면 뿌리 `근(根)`, 싹 `묘(苗)`, 꽃 `화(花)`, 열매 `실(實)` 사용하는데요. 즉, 자신이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근`, `묘`, `화`, `실`로 대응시켜 인생의 뿌리부터 성장, 개화, 결실까지의 흐름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사주팔자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노년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삶의 과정을 해석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근묘화실(根苗花實) 의미 정리근묘화실은 연주, 월주, 일주, 시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근(根)은 사람이 태어난 기반으로 가문·출생 환경을 의미합니다. 연주에 해당하며 조상과 조부모를 봅니다. 묘(苗)는 유년기의 성장 환..
2025. 8. 27.
일간의 특성 05 - 임수(壬水), 계수(癸水)
오늘은 일간의 특성 마지막 시간으로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수(水)는 오행의 마지막 기운으로 응축과 저장을 담당합니다. 앞서 금(金) 기운을 농작물의 수확에 비교한바 있는데요, 수(水)는 다음 농사 준비를 위한 저장과 비축의 과정입니다. 즉, 수(水)는 추운 겨울이면서도 이를 견디기 위한 지혜와 소통 그리고 생명력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임(壬)과 계(癸)는 수(水) 오행에 해당하는 천간의 글자로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데요. 음양(陰陽)의 차이로 인해 조금 다른 특성을 보입니다. > 임수(壬水) 일간 특성 임수는 양(陽..
2025.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