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칠충2

지지의 충(沖) 작용, 충(沖)이 일어났을 때 조심해야 하는 것들 지지의 충(沖)은 각 지지에서부터 일곱 번째 지지와 충을 한다고 하여 칠충(七沖)이라고 하며, 역마는 역마끼리, 도화는 도화끼리, 화개는 화개끼리 충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생지는 생지끼리, 왕지는 왕지끼리, 고지는 고지 끼리 충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생지(역마)는 인신사해(寅申巳亥)이며, 왕지(도화)는 자오묘유(子午卯酉), 고지(화개)는 진술축미(辰戌丑未)이다.  생지, 왕지, 고지 간 서로 극하는 오행끼리 충을 하며 토(土)는 토(土)끼리 충을 하는 특징이 있다.   생지(역마)의 충 작용인신(寅申) 충(沖)인(寅)과 신(申)이 충을 하는 것은 남녀 간 싸움이 많이 생김을 말한다. 또한, 역마의 충이기 때문에 도로 위에서의 사고, 교통사고 등 이동을 하다 사고가 나는 일이 생긴다.  그리고.. 2025. 1. 31.
지지(支地)의 상충(相沖) 작용 #사해충 지지(支地)의 상충(相沖)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2025년 을사(乙巳)년 새해가 밝아 오면서 신년 운세를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다. 특히, 취직, 승진, 이직, 인사발령 등에 대해 물어보는 사람들이 많은데, 상충과 관련된 내용들이어서 한번 정리해보고자 한다.  사주팔자는 천간 4글자와 지지 4글자를 합친 8개의 글자를 말하는데, 여기서 지지 4글자는 시간에 따른 환경변화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주 내에서 시간과 환경에 대한 영향을 알기 위해 지지를 잘 살펴봐야 한다.  기본적으로 사주 원국 내 오행과 육신의 상생상극과 생화극제를 보아야 겠지만, 이 외에도 합(合)과 충(沖)을 통해서 환경과 자신의 상호작용과 대운 또는 세운에서의 흐름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지지(支地)의 상충(相沖)  보는 방법지지.. 2025.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