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60

24절기와 사주팔자의 관계 24절기와 사주 명리학이 어떤 관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명리학에서 사주팔자(四柱八字)란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를 나타내는데,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 기둥(柱)에 위치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총 8개 글자로 이루어 진다.  만세력에 자신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대입하여 자신의 사주팔자를 알아볼 수 있는데, 만세력을 절기(節氣)력이라고도 한다. 해가 가장 긴 시간은 하지, 해가 가장 짧은 시간은 동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입춘 등등 일기예보 등을 통해서 이런 시기에 대해 들어보곤 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절기인데, 1년을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을 일컫는다.  절기는 총 24개로 아래와 같다.   - (봄)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2024. 8. 15.
가깝고도 먼 사이 원진살(怨嗔煞) 정리 가깝고도 먼 사이 원진살(怨嗔煞) 정리 사주팔자에서 원진살(怨嗔煞)이 무엇인지, 사주팔자와 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원진살은 원망할 원(怨)과 성낼 진(嗔)을 사용하여 서로를 원망하고 성내면서 죽이려든다는 의미를 갖습니다. 주로 인생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장애물을 나타내며, 이를 통해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이루는 살이기도 한데요. 원진살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가깝고도 먼 사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궁합을 볼때 상대방이 원진살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을 하기도 하는데요. 이는 원진살이 있을 때 의처증, 의부증이 심하다는 얘기가 있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상대방이 무엇을 하지는 않았는데, 원진살로 인해 원망하고 의심하고 다투어 결혼 생활이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인데요. 사주원국 내.. 2023. 11. 26.
사주명리학, 용신(用神)이란?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찾는 법 사주명리학, 용신(用神)이란?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찾는 법 사주명리학에서 용신(用神)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용신이란 쓸 용(用)과 귀신 신(神)을 합한 글자로 내가 사용하는 기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신은 자신의 오행 중 과한 기운을 억눌러 줄 수 있는 기운을 찾는 억부용신과 사주팔자의 한난조습을 통해 살펴보는 조후용신, 그리고 오행의 상생관계를 잘 연결 시키기 위한 통관용신 등 다양한 형태가 존재합니다. 당령(當令)과 사령(司令) 용신 자평진전에서는 '월령용사지신, 팔자용신전구월령'이라하여 '용신은 오직 월령에서 구한다'고 쓰여있습니다. 또한, 적천수에서는 '인원용사지신'이라하여 월지의 지장간에서 용신을 구하고 있습니다. 이 처럼 월지에서 구하는 용신을 당령(當令)과 사령(司令)이라고 .. 2023. 11. 9.
형충파해 정리 #1 벌을 받는 다는 형살(刑殺) 형(刑)이란 "벌을 받는 다"는 의미를 가지며, 사주명리학에서는 형살(刑殺)로 "죽도록 벌을 받는다."라고 쓰인다. 형(刑)은 형충파해(刑沖破害)살 중 가장 까다로운 신살로도 불리나, 학자마다 해석하는 정도는 다르다. 형(刑)의 종류로는 지지의 세글자가 모인 삼형과 삼형(三刑) 중 두 글자만 모인 상형(相刑), 그리고 같은 글자의 지지가 모여 형을 발생시킨 자형(自刑)이 있다. 형(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징은 고집과 욕심이 강하다는 것이다. 법관, 의사, 간호사, 경찰관 등 사람을 살리거나 통제하는 형태의 직업에서 형(刑)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형(刑)이 살(殺)이기 때문에 사주팔자에 있는 것이 안 좋은 것으로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형(刑)에는 삼형과 상형, 자형.. 2023.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