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60

사주명리학, 십이운성(十二運星) 의미 사주를 보는 방법 중 십이운성(十二運星)이라는 것이 있다.우리나라보다는 일본에서 많이 쓰는 관법으로 알려져 있는데, 천간과 지지가 만났을 때 천간의 상태를 보는 방법을 십이운성이라고 한다.  음양오행의 생성과 성장, 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나누어 관찰한 뒤 각 단계에서의 해당 오행의 왕쇠와 길흉을 관찰하는 방법으로, "절, 태, 양, 장생, 목욕, 관대, 건록, 제왕, 쇠, 병, 사, 묘" 로 표현이 된다.    사주명리학, 십이운성(十二運星) 의미1. 절(絶): 끊을 절   - 죽음으로서 소멸하여 세상의 모든 것과 단절됨을 의미하며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음  - 절은 다른 의미로 새로운 탄생을 의미하므로 절처봉생(絶處逢生) *절은 곳 생을 맞이한다는 의미* 또는 포(胞) *태보 포* 라고도 함 2. 태.. 2024. 9. 20.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4. 신금(辛金), 임수(壬水)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네번째 시간으로 신금(辛金), 임수(壬水) 용신의 희신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신금(辛金) 용신의 희신(임수) 작용 신금(辛金)은 계절적으로 추분에서부터 입동 까지의 시기이다. 늦 가을에 태어난 신금(辛金)은 수확한 작물을 가공하는 것 처럼 자신의 가치를 더하고자 노력한다.  즉,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거나 재탄생 시키는 것처럼 기존의 상품에 가치를 높이는데 재능이 있는데, 이를 통해 상대방의 불편함을 해결해주곤 한다. 다만, 정확성을 중요하게 여기다 보니 잔소리가 심한 것이 신금(辛金) 용신의 특징이다. 신금(辛金) 용신의 희신은 임수(壬水)인데, 사주에 임수가 있는 경우 상품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재주가 있다. 또한 신금(辛金) 용신.. 2024. 9. 19.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3.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세번째 시간으로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에 대한 희신의 작용을 알아보자.  1. 정화(丁火) 용신의 희신(喜神): 경금(庚金) 정화(丁火) 용신은 계절적으로 하지부터 입추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늦 여름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로 다른 사람에 비해 호기심이 많은 특징이 있다.  정화(丁火) 용신인 사람은 이해와 실리를 추구하고 혹기심이 많고 손재주가 좋아 문과보다는 이과에 가깝다. 사람 관계를 실익을 따지고 사귀는 특징도 가지고 있는데, 경금(庚金) 희신이 있으면 호기심과 손재주를 활용하여 생산이나 연구에 몰입하게 된다. 또한, 실익을 따져 일을 맡게 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는 재능을 갖는다.  경금(庚金) 희신시 없는 정화(丁火) 용신은 생산성 보다.. 2024. 9. 14.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1. 계수(癸水), 갑목(甲木)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희신(喜神)이란 환경과 하늘로부터 주어진 용신(用神)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글자라 하였다.  오늘은 당령용신(當令用神)별 희신이 어떻게 작용을 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1. 계수용신(癸水用神): 갑목(甲木) 계수용신은 동지와 입춘 사이 45일의 시기로, 늦 겨울에 해당한다. 가장 추운 시기에 태어나 행동보다 생각이 많으며,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작을 준비하려는 특징을 갖는다.  계수용신의 희신은 갑목(甲木)인데, 사주에 희신인 갑목이 있으면 생각하고 계획만 하던 것을 표현하게된다. 또한, 계수용신은 언어나 예술을 통한 감정 표출을 하고, 약자를 보호해주려는 마음이 있는데, 갑목이 .. 2024. 9. 9.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선 포스팅에서 용신(用神)이란 월령(月令)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1년 24절기를 이분(춘분, 추분)과 이지(동지, 하지), 사립(입춘, 입하, 입추, 입동)으로 나누어 3개의 절기 씩 8개의 환경으로 나눈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   1) 자축(子丑) 월령[동지~입춘]: 지식습득  2) 인묘(寅卯)월령[입춘~춘분]: 교육체계  3) 묘진(卯辰)월령[춘분~입하]: 정책체계  4) 사오(巳午)월령[입하~하지]: 운영체계(조직관리, 조직운영)  5) 오미(午未) 월령[하지~입추]: 기술체계(4차 산업, 금융환경)  6) 신유(申酉)월령[입추~추분]: 생산체계(공산품 제조 환경)  7) .. 2024. 9. 8.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 방법 자신의 사주팔자에 대해 질문할때 자신의 사주가 신강(身强)한지 신약(身弱)한지를 묻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혹은, 인터넷으로 좀 알아봤더니 내 사주가 신약 (身弱) 한데, 이럴 땐 어떻게 하냐? 라고 또는 반대로 신강 (身强) 한데.. 라는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정말 그 사주가 신강하고 신약한 사주라면 상관이 없는데, 그게 아니라 아예 잘못알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자신의 사주가 신강한지 신약한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사주 명리학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하기 먼저, 신강(身强)과 신약(身弱)에 대해 알아보자. 신강과 신약 모두 몸 신(身)자를 쓰며, 강은 굳셀 강(强), 약은 약할 약(弱)을 쓴다. 즉, 사주팔자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일간(.. 2024. 9. 8.
용신(用神)의 기신(忌神)은 나쁠까? 용신(用神)의 기신(忌神)은 나쁠까? 용신(用神)의 쓰임을 알려면 희기신(喜忌神)을 알아야 한다. 희신은 앞선 포스팅을 통해 알아보았으며, 이번엔 기신(忌神)에 대해 알아보자.  기신은 꺼릴 기(忌)를 쓰며 말 그대로 용신을 상극(相剋)하는 오행이 기신이 된다.  사주팔자에서 오행(五行)을 위주로 파악할 때 먼저 용신을 통해 하늘가 환경에 부여받은 일과 해야할 임무를 알아야 되고, 다음으로 희신과 기신을 통해 용신을 그대로 활용하는지 아니면 인위적으로 활용하는지를 알아야 하는 것이다.  희신은 용신을 있는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라면 기신은 용신을 개량하여 자신에 맞게 사용하는 것이다.  용신의 기신은 2개 기신은 용신과 같은 오행이나 음양이 다른 기신과 용신을 극하는 기신 두개의 기신이 존재한다. 즉, 갑.. 2024. 8. 27.
당령용신(當令用神) 특징 정리(#성격 #진로분야 등) 이전 포스팅을 통해 당령 용신(當令用神)과 희신(喜神)을 어떻게 찾는지 알아보았다.  짧게 정리하자면 당령용신(當令用神)은 24절기를 이분(춘분, 추분), 이지(동지, 하지), 사립(입춘, 입하, 입추, 입동) 8개로 나눈 팔품을 통해서 찾는다고 하였으며, 하늘과 환경으로부터 부여받은 마땅히 해야할 일이라고 하였다.   오늘은 당령용신에 따라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자.  당령용신(當令用神) 특징 정리1. 계수(癸水) 용신  - 계수(癸水) 용신은 동지부터 입춘까지 시기를 말한다.   - 감수성이 풍부하고, 마음이 따뜻하며 혼자 생각하기를 좋아한다.  - 인간의 본질에 대한 호기심 크고 철학적인 면이 있다.    - 진로분야는 기획, 창작, 연구원, 심리상담 등에 적합하다.  2. 갑목 (甲木).. 2024. 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