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간의 특성 04 - 경금(庚金), 신금(辛金)
오늘은 일간의 특성 네번째 시간으로 경금(庚金), 신금(辛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앞선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경(庚)과 신(辛)은 금(金) 오행의 글자로서, 경은 양금(陽金)이고, 신은 음금(陰金)입니다. 목(木)과 화(火)는 발산하는 기운이 있다면, 토(土)를 지나 금(金) 기운은 점차 기운이 수렴하기 시작합니다. 오행에서 목(木)은 봄이고, 화(火)는 여름, 금(金)은 가을, 수(水)는 겨울을 의미하는데요. 농사로 예를 들면 봄에 씨를 뿌려 새싹들을 발아시키고, 여름에는 화(火)의 열기와 생장을 통해 무성하게 자라게 되며, 가을에는 곡식들을 수확하고, 겨울에는 봄에 씨를 뿌리기 위하여 씨앗을 곡..
2025. 8. 25.
일간의 특성 03 - 무토(戊土), 기토(己土)
오늘은 사주명리학에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갑(甲), 을(乙), 병(丙), 정(丁)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이어서 일간의 특성 세번째 시간으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무(戊)와 기(己) 두 글자 모두 토(土) 오행에 해당하는 글자로서, 무토(戊土)는 양(陽)의 기운이며, 기토(己土)는 음(陰)의 기운을 갖습니다. 토(土)는 명리학에서 안정, 신뢰, 포용, 인내, 중재를 의미하며, 자연적으로는 땅, 대지, 산 흙을 나타냅니다. 또한, 중화와 조화를 담당하는 기운으로서 다른 오행을 잇고 만물을 길러내는 바탕이 되는 기운입니다. 때문에 토(土) 기운이 강한 사람은 안정감, 신중함, 책임감, 현실주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리더의 모습이 있으..
2025. 8. 22.
곡각살(曲脚殺) - 수족 장애, 신경통, 디스크로 고생하는 신살
곡각살(曲脚殺)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곡각살은 굽을 `곡(曲)`, 다리 `각(脚)`을 사용하여 다리가 굽어 있다는 의미의 신살입니다. 사주에 곡각살(曲脚殺)을 가지고 있으면 신경통, 수술, 사고 등의 위험이 많은데요.특히, 다리나 무릎 등 하체 부상이나, 목·허리 디스크, 관절염에 걸리기 쉬우며, 이동이나 여행 중 사고의 위험도 있습니다. 곡각살(曲脚殺) 구성요소 을(乙), 기(己), 사(巳), 축(丑)과 같이 굽은 글자가 사주에 있는 경우를 곡각살(曲脚殺)이라고 합니다. 이 경우 태어날 때부터 관절염, 신경통 등에 걸리기 쉬우며, 사고 등으로 인한 수족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주원국에 천간에 을(乙)이나 기(己)가 있거나, 지지에 사(巳)나 축(丑)이 있는 경우 곡각살(曲脚殺)이 성립되며, ..
2025. 8.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