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천간3

일간의 특성 03 - 무토(戊土), 기토(己土) 오늘은 사주명리학에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갑(甲), 을(乙), 병(丙), 정(丁)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이어서 일간의 특성 세번째 시간으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무(戊)와 기(己) 두 글자 모두 토(土) 오행에 해당하는 글자로서, 무토(戊土)는 양(陽)의 기운이며, 기토(己土)는 음(陰)의 기운을 갖습니다. 토(土)는 명리학에서 안정, 신뢰, 포용, 인내, 중재를 의미하며, 자연적으로는 땅, 대지, 산 흙을 나타냅니다. 또한, 중화와 조화를 담당하는 기운으로서 다른 오행을 잇고 만물을 길러내는 바탕이 되는 기운입니다. 때문에 토(土) 기운이 강한 사람은 안정감, 신중함, 책임감, 현실주의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리더의 모습이 있으.. 2025. 8. 22.
사주명리학, 통근(通根)과 투간(透干) 정리 통근과 투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앞서 포스팅을 통해 천간, 지지,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관련 포스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 천간, 지지, 지장간 의미와 풀이방법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주팔자는 천간의 4글자와 지지 4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지지 글자 안에 숨겨진 천간이라 하여 지장간이 존재합니 lifedesign00.tistory.com 그럼 본격적으로 통근과 투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근과 투간 앞선 포스팅을 통해 지장간에 대해 잠깐 설명을 드린바 있는데요. 지장간을 해석할때 통근과 투간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통근이란 천간의 글자와 같은 오행이 지지에 있는 것을 말하며, .. 2023. 10. 30.
천간, 지지, 지장간 의미와 풀이방법 천간과 지지 그리고 지장간의 의미와 풀이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사주팔자는 천간의 4글자와 지지 4글자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지지 글자 안에 숨겨진 천간이라 하여 지장간이 존재합니다. 즉, 사주팔자는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 맞는 표현일 것입니다. 사주팔자의 구성을 이해하려면 삼재지도(三才之道)라는 말을 알면 도움이 되는데요. 주역에서 나온 말로 세상의 모든 법칙은 천도, 인도, 지도가 있어 모든 법칙이 이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말입니다. 즉, 우주와 인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는 천원(天元), 지원(地元), 인원(人元)이며, 이를 사주팔자에서는 천간, 지지, 지장간으로 쓰는 것입니다. 지지 속에 들어있는 천간, 지장간(地藏干) 천간(天干) 10글자와 지지(地支) 12글자는 아는데.. 2023.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