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 근묘화실論(根苗花實論)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근묘화실의 글자를 풀어 보면 뿌리 `근(根)`, 싹 `묘(苗)`, 꽃 `화(花)`, 열매 `실(實)` 사용하는데요.
즉, 자신이 태어난 생년, 생월, 생일, 생시를 `근`, `묘`, `화`, `실`로 대응시켜
인생의 뿌리부터 성장, 개화, 결실까지의 흐름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사주팔자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노년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된 삶의 과정을 해석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근묘화실(根苗花實) 의미 정리
근묘화실은 연주, 월주, 일주, 시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근(根)은 사람이 태어난 기반으로 가문·출생 환경을 의미합니다. 연주에 해당하며 조상과 조부모를 봅니다.
묘(苗)는 유년기의 성장 환경을 의미합니다. 월주에 해당하며 부모와 형제, 자라난 환경을 나타냅니다.
화(花)는 왕성하게 사회적 활동을 하는 시기입니다. 일주에 해당하며 본인이나 배우자를 나타냅니다.
실(實)은 삶의 노년기입니다. 시주에 해당하며, 자식과 말년의 복을 나타냅니다.
| 근묘화실 분석
사주명리학에서 근묘화실은 사주 전체의 생애 주기를 관찰하는 틀이라고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어린 시절부터 노년기까지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길흉화복을 따진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주에 길신이 들어오면 조상이나 조부모복이 있고, 흉신이 들어오면 조상이나 조부모복이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월주는 부모와 형제 또는 자라나는 환경에 대한 복을, 일주는 자신이나 배우자 복을 보며,
시지를 통해 자식이나 말년의 복이 있는지를 보게 됩니다.
여기서 말하는 길신과 흉신은 합과 충, 용신과 기신, 공망 등을 말합니다.
단순히 좋고 나쁨만 따진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 조화와 흐름을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
근묘화실론은 사주를 해석하는 데 있어 부분적인 길흉을 따지는 데 그치지 않고,
인생을 하나의 유기적인 과정으로 바라보는 관점입니다.
뿌리가 튼튼해야 싹이 자라고, 싹이 곧게 뻡어야 꽃이 피며, 꽃이 잘 펴야 열매가 맺히듯이,
인간의 삶도 네 기둥이 서로 연결되어 흐른다는 점을 논하는 것입니다.
| 이전 포스팅 바로가기
일간의 특성 05 - 임수(壬水), 계수(癸水)
오늘은 일간의 특성 마지막 시간으로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
inseol.com
일간의 특성 04 - 경금(庚金), 신금(辛金)
오늘은 일간의 특성 네번째 시간으로 경금(庚金), 신금(辛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앞선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경(
inseol.com
일간의 특성 03 - 무토(戊土), 기토(己土)
오늘은 사주명리학에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전에 갑(甲), 을(乙), 병(丙), 정(丁)에 대해 정리를 했었는데요, 이어서 일간의 특성 세번째 시간으로 무(戊)와 기(己)에 대해 정
inseol.com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쌍둥이 사주, 같을까 다를까? (23) | 2025.09.01 |
---|---|
나를 돕는 인연, 내게 오는 행운 - 귀인(貴人)에 대하여 (35) | 2025.08.28 |
일간의 특성 05 - 임수(壬水), 계수(癸水) (18) | 2025.08.26 |
일간의 특성 04 - 경금(庚金), 신금(辛金) (14) | 2025.08.25 |
일간의 특성 03 - 무토(戊土), 기토(己土) (16) | 2025.08.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