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설계54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4. 신금(辛金), 임수(壬水)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네번째 시간으로 신금(辛金), 임수(壬水) 용신의 희신에 대해 알아보겠다.  1. 신금(辛金) 용신의 희신(임수) 작용 신금(辛金)은 계절적으로 추분에서부터 입동 까지의 시기이다. 늦 가을에 태어난 신금(辛金)은 수확한 작물을 가공하는 것 처럼 자신의 가치를 더하고자 노력한다.  즉, 기존의 것을 재구성하거나 재탄생 시키는 것처럼 기존의 상품에 가치를 높이는데 재능이 있는데, 이를 통해 상대방의 불편함을 해결해주곤 한다. 다만, 정확성을 중요하게 여기다 보니 잔소리가 심한 것이 신금(辛金) 용신의 특징이다. 신금(辛金) 용신의 희신은 임수(壬水)인데, 사주에 임수가 있는 경우 상품의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으며,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재주가 있다. 또한 신금(辛金) 용신.. 2024. 9. 19.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3.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세번째 시간으로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에 대한 희신의 작용을 알아보자.  1. 정화(丁火) 용신의 희신(喜神): 경금(庚金) 정화(丁火) 용신은 계절적으로 하지부터 입추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늦 여름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로 다른 사람에 비해 호기심이 많은 특징이 있다.  정화(丁火) 용신인 사람은 이해와 실리를 추구하고 혹기심이 많고 손재주가 좋아 문과보다는 이과에 가깝다. 사람 관계를 실익을 따지고 사귀는 특징도 가지고 있는데, 경금(庚金) 희신이 있으면 호기심과 손재주를 활용하여 생산이나 연구에 몰입하게 된다. 또한, 실익을 따져 일을 맡게 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는 재능을 갖는다.  경금(庚金) 희신시 없는 정화(丁火) 용신은 생산성 보다.. 2024. 9. 14.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2. 을목(乙木), 병화(丙火)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두번째 시간으로 을목(乙木), 병화(丙火) 용신(用神)의 희신(喜神)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2. 을목(乙木), 병화(丙火)1. 을목(乙木) 용신, 병화(丙火) 희신을목(乙木) 용신은 계절적으로 춘분부터 입하 까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을목 용신인 사람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잘하고 친화력이 좋다.  늦은 봄에 태어난 을목(乙木) 용신은 본격적으로 행동을 시작하는 시기로 활기가 넘쳐 계획했던 것일들을 행동으로 실천하려고 하며, 이에 따른 현실의 벽도 마주하기도 한다.  생각한 것들을 현실에 맞게 실천하다 보니 이런 것들을 검증하고 체계화를 시키고자 한다. 또한, 현실에서 적응하는 법을 익히게 되고 자연스레 환경과 사회에서 주어진.. 2024. 9. 12.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 방법 자신의 사주팔자에 대해 질문할때 자신의 사주가 신강(身强)한지 신약(身弱)한지를 묻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혹은, 인터넷으로 좀 알아봤더니 내 사주가 신약 (身弱) 한데, 이럴 땐 어떻게 하냐? 라고 또는 반대로 신강 (身强) 한데.. 라는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정말 그 사주가 신강하고 신약한 사주라면 상관이 없는데, 그게 아니라 아예 잘못알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자신의 사주가 신강한지 신약한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사주 명리학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하기 먼저, 신강(身强)과 신약(身弱)에 대해 알아보자. 신강과 신약 모두 몸 신(身)자를 쓰며, 강은 굳셀 강(强), 약은 약할 약(弱)을 쓴다. 즉, 사주팔자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일간(.. 2024. 9. 8.
형충파해 #4 해(害), 개인, 연애 관계를 방해하는 육해(六害) 사주명리, 형충파해 중 해(害)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시간에 각각 형(刑)과 충(沖), 파(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마지막 시간으로 해(害)에 대한 시간이다. 해(害)는 사전적 의미로 해하다, 거리끼다를 뜻하는데, 지지 육합의 관계를 방해하는 것이 바로 해(害)이다. 따라서, 해(害)의 종류도 6가지라고 보면된다. 자세한 내용을 하나씩 알아보자. 형충파해 #4 해(害), 개인, 연애 관계를 방해하는 육해(六害) 1. 해(害)의 원리와 종류 해(害)는 지지의 육합(六合)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육합관계를 가지는 지지를 충(沖)하는 지지라고 이해를 하면된다. 육합이라 하면 자축, 인해, 묘술, 진유, 사신, 오미이며, 충(沖)이라 하면 자오, 축미, 인신, 묘유, 진술, 사해 6가지.. 2023. 5. 22.
형충파해 정리 #1 벌을 받는 다는 형살(刑殺) 형(刑)이란 "벌을 받는 다"는 의미를 가지며, 사주명리학에서는 형살(刑殺)로 "죽도록 벌을 받는다."라고 쓰인다. 형(刑)은 형충파해(刑沖破害)살 중 가장 까다로운 신살로도 불리나, 학자마다 해석하는 정도는 다르다. 형(刑)의 종류로는 지지의 세글자가 모인 삼형과 삼형(三刑) 중 두 글자만 모인 상형(相刑), 그리고 같은 글자의 지지가 모여 형을 발생시킨 자형(自刑)이 있다. 형(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징은 고집과 욕심이 강하다는 것이다. 법관, 의사, 간호사, 경찰관 등 사람을 살리거나 통제하는 형태의 직업에서 형(刑)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형(刑)이 살(殺)이기 때문에 사주팔자에 있는 것이 안 좋은 것으로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형(刑)에는 삼형과 상형, 자형.. 2023.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