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월령2

사주명리학, 일간(日干)과 월령(月令) 그리고 격국(格局) 사주명리학, 일간(日干)과 월령(月令) 그리고 격국(格局)에 대해 알아보자.  사주를 공부하다 보면 일간을 중심으로 봐야 한다는 사람도 있고, 태어난 월을 중심으로 봐야 한다는 사람이 있다. 각기 다른 주장 때문에 처음 사주를 공부하는 사람들은 어리둥절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사주를 보면서 일간을 보고 하느냐, 태어난 월을 보고 하느냐는 이 사람의 개인적인 삶을 볼 것인지, 아니면 태어난 환경을 볼 것인지의 차이가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일간은 자신이 하고 싶은게 있어 그 것을 하는 것이고, 월령은 세상이 흘러가는 것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이다.   일간(日干)과 월령(月令)의 작용일간은 사주의 주인이라 할 수 있는 글자이다. 때문에 육신을 볼때도 일간을 기준으로 하여 육신을 구분한다. 특히, 현대 사.. 2024. 11. 29.
24절기와 사주팔자의 관계 24절기와 사주 명리학이 어떤 관계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명리학에서 사주팔자(四柱八字)란 4개의 기둥과 8개의 글자를 나타내는데,  태어난 연(年), 월(月), 일(日), 시(時) 기둥(柱)에 위치한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총 8개 글자로 이루어 진다.  만세력에 자신이 태어난 연월일시를 대입하여 자신의 사주팔자를 알아볼 수 있는데, 만세력을 절기(節氣)력이라고도 한다. 해가 가장 긴 시간은 하지, 해가 가장 짧은 시간은 동지, 봄이 오는 것을 알리는 입춘 등등 일기예보 등을 통해서 이런 시기에 대해 들어보곤 했을 것이다. 이게 바로 절기인데, 1년을 태양의 움직임에 따라 24개로 나누어 정한 날을 일컫는다.  절기는 총 24개로 아래와 같다.   - (봄)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2024. 8.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