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94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3.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세번째 시간으로 정화(丁火), 경금(庚金) 용신에 대한 희신의 작용을 알아보자.  1. 정화(丁火) 용신의 희신(喜神): 경금(庚金) 정화(丁火) 용신은 계절적으로 하지부터 입추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늦 여름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는 시기로 다른 사람에 비해 호기심이 많은 특징이 있다.  정화(丁火) 용신인 사람은 이해와 실리를 추구하고 혹기심이 많고 손재주가 좋아 문과보다는 이과에 가깝다. 사람 관계를 실익을 따지고 사귀는 특징도 가지고 있는데, 경금(庚金) 희신이 있으면 호기심과 손재주를 활용하여 생산이나 연구에 몰입하게 된다. 또한, 실익을 따져 일을 맡게 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는 재능을 갖는다.  경금(庚金) 희신시 없는 정화(丁火) 용신은 생산성 보다.. 2024. 9. 14.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2. 을목(乙木), 병화(丙火)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두번째 시간으로 을목(乙木), 병화(丙火) 용신(用神)의 희신(喜神)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2. 을목(乙木), 병화(丙火)1. 을목(乙木) 용신, 병화(丙火) 희신을목(乙木) 용신은 계절적으로 춘분부터 입하 까지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을목 용신인 사람은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잘하고 친화력이 좋다.  늦은 봄에 태어난 을목(乙木) 용신은 본격적으로 행동을 시작하는 시기로 활기가 넘쳐 계획했던 것일들을 행동으로 실천하려고 하며, 이에 따른 현실의 벽도 마주하기도 한다.  생각한 것들을 현실에 맞게 실천하다 보니 이런 것들을 검증하고 체계화를 시키고자 한다. 또한, 현실에서 적응하는 법을 익히게 되고 자연스레 환경과 사회에서 주어진.. 2024. 9. 12.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01. 계수(癸水), 갑목(甲木)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서 희신(喜神)이란 환경과 하늘로부터 주어진 용신(用神)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글자라 하였다.  오늘은 당령용신(當令用神)별 희신이 어떻게 작용을 하고 어떤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용신(用神)별 희신(喜神)의 작용 1. 계수용신(癸水用神): 갑목(甲木) 계수용신은 동지와 입춘 사이 45일의 시기로, 늦 겨울에 해당한다. 가장 추운 시기에 태어나 행동보다 생각이 많으며,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작을 준비하려는 특징을 갖는다.  계수용신의 희신은 갑목(甲木)인데, 사주에 희신인 갑목이 있으면 생각하고 계획만 하던 것을 표현하게된다. 또한, 계수용신은 언어나 예술을 통한 감정 표출을 하고, 약자를 보호해주려는 마음이 있는데, 갑목이 .. 2024. 9. 9.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 용신(用神)의 합(合)과 상충(相忠) 작용에 대해 알아보자.  앞선 포스팅에서 용신(用神)이란 월령(月令)에서 나온다고 하였다. 1년 24절기를 이분(춘분, 추분)과 이지(동지, 하지), 사립(입춘, 입하, 입추, 입동)으로 나누어 3개의 절기 씩 8개의 환경으로 나눈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은 아래와 같다.  당령용신(當令用神)의 환경적 특징   1) 자축(子丑) 월령[동지~입춘]: 지식습득  2) 인묘(寅卯)월령[입춘~춘분]: 교육체계  3) 묘진(卯辰)월령[춘분~입하]: 정책체계  4) 사오(巳午)월령[입하~하지]: 운영체계(조직관리, 조직운영)  5) 오미(午未) 월령[하지~입추]: 기술체계(4차 산업, 금융환경)  6) 신유(申酉)월령[입추~추분]: 생산체계(공산품 제조 환경)  7) .. 2024. 9. 8.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 방법 자신의 사주팔자에 대해 질문할때 자신의 사주가 신강(身强)한지 신약(身弱)한지를 묻는 사람들이 종종 있다.혹은, 인터넷으로 좀 알아봤더니 내 사주가 신약 (身弱) 한데, 이럴 땐 어떻게 하냐? 라고 또는 반대로 신강 (身强) 한데.. 라는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 정말 그 사주가 신강하고 신약한 사주라면 상관이 없는데, 그게 아니라 아예 잘못알고 있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번 시간에는 자신의 사주가 신강한지 신약한지를 어떻게 알 수 있는지 알아보려고 한다.  사주 명리학 신강(身强)과 신약(身弱) 사주 구별하기 먼저, 신강(身强)과 신약(身弱)에 대해 알아보자. 신강과 신약 모두 몸 신(身)자를 쓰며, 강은 굳셀 강(强), 약은 약할 약(弱)을 쓴다. 즉, 사주팔자에서 자신을 가리키는 일간(.. 2024. 9. 8.
용신(用神) 활용법, 용신을 돕는 글자들(상생식) 당령용신(當令用神)이란 하늘과 환경이 정해준 것이라 하였으며, 희신(喜神)은 용신을 도와 환경에 적합하게 하는 것이라 하였다.  하늘고 환경이 정해준 것이 있고 이를 적합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이를 위해 기술을 연마하고 나아가 능력을 펼칠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글자들이 있다. 이런것들이 모여 상생식을 이루는 것인데, 용신마다 어떤 글자들이 용신을 도와 지속적으로 실력을 쌓고 나아갈 수 있게 만드는지 알아보자.  용신(用神)을 돕는 글자들(상생식)1. 계수(癸水), 갑목(甲木) 용신  - 신금(辛金):  계수(癸水)와 갑목(甲木) 용신에서 신금(辛金)은 용신의 능력을 기르는데 도움을 준다.  - 병화(丙火): 능력을 발휘하여여 자신을 알리고 성과를 내는데 도움을 준다.   - 사주에 신금과 병화가 .. 2024. 9. 6.
사주명리학 - 통근(通根)과 투간(透干) 통근(通根)과 투간(透干)에 대해 알아보자.  통근(通根)이란 통할 통(通)에 뿌리 근(根)을 쓰며 지지에 뿌리를 내린다는 의미를 갖는다. 천간 오행이 지지에 같거나 상생하는 오행 또는 고지에 해당하는 진술축미(辰戌丑未)에 착근하는 것을 말한다.  투간(透干)이란 통할 투(透)에 방패 간(干)을 사용하여 지지 오행이 천간에 드러난 것을 말한다.   통근(通根) 의 작용 1. 각 지지(地支)별 통근(通根)의 작용각 지지(地支)에 따라 통근의 작용이 다른데, 연지에 통근하면 부모의 후광을 살아가는 사람이 되며, 월지에 통근하면 계절적 환경에 도움을 받게 되어 남다른 자질을 갖음을 의미한다. 일지에 통근하면 대인 관계를 활용하여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게 되고, 시지에 통근하면 고생 끝에 낙이 온다하여 시작은 어.. 2024. 9. 1.
희신(喜神)의 기신(忌神) 찾기 앞선 포스팅에서 용신(用神)의 기신(忌神)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희신(喜神)의 기신(忌神) 을 알아보자.  먼저, 용신(用神)이란 하늘과 환경에 의해 부여받은 일이라고 하였으며, 희신(喜神)은 부여받은 일을 따르도록 돕는 오행이라 하였다.  따라서, 사주에 희신(喜神) 이 있다면 용신에 맞는 직업분야에 종사하게 되며, 원칙에 맞는 일처리를 하게 된다. 반대로 희신이 없는 경우 자신이 하고 싶은 직업을 선택하거나 자유분방하여 직업 변경이 잦을수 있다.  사주에 기신(忌神) 이 있는 경우 용신에 의해 주어진 일보다는 다른 것에 관심을 갖게 되며, 의무보다는 자유를 우선시 하게 된다.  또한, 사주에 희신과 기신 모두 가지고 있다면 환경에 부여받은 일도 하면서 다른 것에도 관심을 갖게 되어 다재다.. 2024.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