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90

오행의 상생과 상극 앞서 사주명리학에서 음양과 오행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주명리학은 음양오행의 생극제화(生剋制化)의 원리에 바탕을 두는 학문이다. 생극제화를 풀이하면 아래와 같다. 생(生)은 날 생을 쓰며 말 그대로 낳는다, 도와준다는 의미이다. 극(剋)은 이길 극을 쓰며 자극하고 억누른다는 의미로 보면된다. 제(制)는 억제할 제를 쓰며 언뜻 보기에는 극과 비슷하나, 적절하게 통제하는 것으로 본다. 화(化)는 될 화를 쓰며, 일반적인 이론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오행은 생극제화로써 끊임없이 서로 생하거나 생을 받고, 극하거나 극을 받으며 상호작용을 한게된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 1. 오행의 상생 오행의 상생에 대해 알아보자. 오행의 상생이란 목(木),.. 2023. 7. 30.
형충파해 #4 해(害), 개인, 연애 관계를 방해하는 육해(六害) 사주명리, 형충파해 중 해(害)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시간에 각각 형(刑)과 충(沖), 파(破)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마지막 시간으로 해(害)에 대한 시간이다. 해(害)는 사전적 의미로 해하다, 거리끼다를 뜻하는데, 지지 육합의 관계를 방해하는 것이 바로 해(害)이다. 따라서, 해(害)의 종류도 6가지라고 보면된다. 자세한 내용을 하나씩 알아보자. 형충파해 #4 해(害), 개인, 연애 관계를 방해하는 육해(六害) 1. 해(害)의 원리와 종류 해(害)는 지지의 육합(六合)을 방해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육합관계를 가지는 지지를 충(沖)하는 지지라고 이해를 하면된다. 육합이라 하면 자축, 인해, 묘술, 진유, 사신, 오미이며, 충(沖)이라 하면 자오, 축미, 인신, 묘유, 진술, 사해 6가지.. 2023. 5. 22.
형충파해 #3 파(破), 인간관계·사회생활이 무너질까? 사주명리, 형충파해 중 파(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지난 시간에 각각 형(刑)과 충(沖)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오늘은 세번째 시간으로 파(破)에 대한 시간이다. 파(破)는 사전적 의미로 깨트리다, 부수다, 가르다를 의미한다. 즉, 사주나 운으로 파가 들어오면 현재 상태가 깨트리거나 부숴져서 유지하기 힘들어짐을 의미한다. 천간의 글자는 10글자이나 지지의 글자는 12글자로 천간을 기준으로 1-10까지가 한 싸이클이 된다. 따라서 11부터는 천간의 경우 다시 1부터 시작하는 것과 같다고 볼 수있다. 파(破)는 천간을 기준으로 지지 중 양에 해당하는 글자가 10번째 글자를 만났을때 일어난다. 자세한 내용을 하나씩 알아보자. 형충파해 #3 파(破)로 인해 무엇이 변할까? 1. 파(破)의 원리와 종류 지지는.. 2023. 5. 22.
형충파해 정리 #2. 충(沖)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일 형충파해(刑沖破害) 중 충(沖)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일에 대해 알아보겠다. 형(刑)이 궁금한 사람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면된다. 형충파해는 지지에서 일어나는데, 충(沖)만이 천간과 지지 모두에서 일어나는 작용이다. 충(沖)을 한자사전으로 찾아보면 화하다, 비다, 공허하다, 찌르다의 뜻을 갖으며,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충돌(衝突)과는 다른 한자를 쓰고 있다. 형충파해 정리 #2. 충(沖)이 일어나면 발생하는 일 충돌(衝突)의 충(衝)은 찌르다, 부딪치다 등의 의미를 갖고 있는데, 사주명리에서 충(沖)을 충돌의 의미로 받아들이면 안된다. 앞서 말한것 처럼 사주명리에서의 충(沖)은 화하다, 비다, 찌르다, 공허하다의 의미를 갖고 있으므로 뭔가에 부딪치는 것이 아닌 변화를 의미한다. 1. 충(沖) 찾는 법 #칠.. 2023. 5. 14.
사주명리, 생지·왕지·고지에 따른 성격 유형 (역마, 도화가 여기에) 지지(地支)는 계절을 상징하는데, 이를 생지, 왕지, 고지(묘지)로 분류할 수 있다. 봄은 인(寅), 묘(卯), 진(辰)을, 여름은 사(巳), 오(午), 미(未)를, 가을은 신(申), 유(酉), 술(戌)을, 겨울은 해(亥), 자(子), 축(丑)에 해당하는데. 각 계절의 시작을 생지, 중간을 왕지, 끝을 고지(묘지)라고 한다. 사주명리, 생지·왕지·고지에 따른 성격 유형 (역마, 도화가 여기에) 즉, 생지는 인신사해(寅申巳亥), 왕지는 자오묘유(子午卯酉), 고지(묘지)는 진술축미(辰戌丑未)로 정리된다. 생지(生支)는 한자 그대로 계절의 기운이 태어나는 시기이며, 왕지(旺支)는 그 기운이 가장 왕성고, 고지(庫支)는 과거의 계절을 담아내는 기운이 있다. 하나의 계절을 생지·왕지·고지(묘지)로 분류를 한 이유.. 2023. 5. 8.
#2-1. 일상 속 음양오행 기운 정리 #음양오행 #조건표 앞서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에 대한 정리를하였다. 명리학을 포함한 동양철학에서 음양과 오행은 단순히 밝음과 어두움, 나무·불·땅·쇠·물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세상의 흐름과 물질의 성질을 음양 그리고 오행으로 정리를 한 것이다. 설명으로는 부족할 수 있어서 일상 생활에서 우리가 느끼고 볼 수 있는 음양과 오행의 기운들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음양과 오행은 가까이는 우리의 신체에서 확인이 가능하며 성격, 계절 등에서 그 기운들을 정리할 수 있다. 1. 음양(陰陽) 기운 정리 #음양조건표 음(陰) 땅 여자 가을, 겨울 서방, 북방 짝수 무거움 부드러움 비활동성 가정 양(陽) 하늘 남자 봄, 여름 동방, 남방 홀수 가벼움 단단함 활동성 사회 2. 오행(五行) 기운 정리 #오행조건표 목(木) 화(火) 토(土.. 2023. 5. 6.
형충파해 정리 #1 벌을 받는 다는 형살(刑殺) 형(刑)이란 "벌을 받는 다"는 의미를 가지며, 사주명리학에서는 형살(刑殺)로 "죽도록 벌을 받는다."라고 쓰인다. 형(刑)은 형충파해(刑沖破害)살 중 가장 까다로운 신살로도 불리나, 학자마다 해석하는 정도는 다르다. 형(刑)의 종류로는 지지의 세글자가 모인 삼형과 삼형(三刑) 중 두 글자만 모인 상형(相刑), 그리고 같은 글자의 지지가 모여 형을 발생시킨 자형(自刑)이 있다. 형(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의 공통적인 특징은 고집과 욕심이 강하다는 것이다. 법관, 의사, 간호사, 경찰관 등 사람을 살리거나 통제하는 형태의 직업에서 형(刑)을 가진 사람들이 많은 것을 보면 형(刑)이 살(殺)이기 때문에 사주팔자에 있는 것이 안 좋은 것으로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앞서 말했듯이 형(刑)에는 삼형과 상형, 자형.. 2023. 5. 6.
#2. 음양오행(陰陽五行) 이전 포스팅에서 사주명리학에서 음양(陰陽)이 먼저 생기고, 그 이후에 오행(五行)이 나왔다고 말한바 있다. 가. 음양(陰陽) 먼저, 음양이란 기본적으로 상대적인 입장을 취하여 균형을 맞추는 성질이라고 생각하면된다. 밝은 것이 있으면 어두운 것이 있으며, 따뜻한 것이 있으면 차가운 것이 있다. 또한 높은 곳이 있으면 낮은 곳이 있고, 성격이 활발한 것이 있고 소극적인 것이 있듯 모든 것은 상대적인 입장을 취하게 된다. 이러한 세상의 흐름과 물질의 성질들을 음(陰)과 양(陽)으로 분리하여 보는 것이 음양(陰陽)운동이다. 음양은 아래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 - 음: 땅, 여자, 정신, 죽음, 아래, 오른쪽, 짝수, 서쪽, 북쪽, 가을, 겨울, 추위, 밤, 무거움, 수동적, 수축 - 양: 하늘, 남자, 육체,.. 2023. 4.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