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생설계33

사주명리학, 격국편 - 양인격(羊刃格) 사주명리학, 격국편 - 양인격(羊刃格)에 대해 알아보자. 양인격에서 양인이란 양 양(羊)이 칼날 인(刃)을 사용하는데, 흔히 양털을 깍는 칼이라고도 설명될 수 있으나, 아래 의 한자 사전을 보면 양(羊)은 상서롭다는 뜻도 내포하고 있다.  '상서롭다'는 말을 복되고 길한 일이 일어날 조짐이 있다는 의미인데, 여기에 칼을 들이데는 형상이 양인겻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양인격은 흉격이라 할 수 있는데, 일간과 오행이 같고 음양이 다른 월령인 사주를 양인격이라 하며,  더 정확히는 일간이 양간이고 월령이 음이면서 오행이 같은 글자인 경우가 양인격 사주로 본다.  격국편 - 양인격 특징양인격은 일상 속 부조리나 억울한 사연들을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는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사회적 불합리한 문제들에 .. 2024. 10. 29.
사주명리학, 격국편 - 편관격 특징 사주명리학, 격국편으로 편관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다. 격(格)이란 가족, 사회, 조직 생활에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육신에서 자신의 역할 또는 위치를 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오늘은 격국 중 흉격 충 가장 두려워(?)할 수도 있는 편관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격국편 - 편관격 특징 편관격은 일간을 극하면서 음양도 같은 월령을 말한다. 예를 들어 일간이 갑목(甲木)인 경우 월령은 경금(庚金)일 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편관을 살(殺)이라 하여 나쁜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정말 그런지 특징을 알아보자. 편관격은 좋고 싫음이 확실하여 주변 사람들로부터 냉정하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또한, 자신이 속한 조직의 질서는 자신이 정리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 자기도 모르게 완장질을 하.. 2024. 10. 26.
사주명리학, 격국편 - 상관격 특징 사주명리학, 격국편으로 상관격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다. 앞선 포스팅에서 격(格)이란 사주팔자에 해당하는 사람의 신분과 위치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즉, 가족, 사회, 조직 생활에서의 관계를 나타내는 육신에서 자신의 역할 또는 위치를 보는 것이 격(格)이라 할 수 있는데, 오늘은 이 중 상관격에 대해 알아보자.  격국편 - 상관격 특징 상관격은 일간이 월령을 생하고 음양이 다른 오행의 글자인 사주의 격을 말한다. 상관격은 흉격으로 스스로 운명을 만들어가야 하는 사주라 할 수 있다.  상관격의 특징을 보면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다재다능한 재능이 있으며,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주변 환경을 이용해 혁신을 이끌어 내는 사람이다. 이러한 이유로 보수적인 성향이 짙었던 과거에는 상관격을 나쁘게 보았지만 현대 시대에는.. 2024. 10. 26.
사주 명리학, 격(格) 잡는 방법, 취격법 사주 명리학, 격(格) 잡는 방법, 취격법에 대해 알아보자.   격(格)은 사주 내 육신간의 관계에서 '나'라는 사람의 역할을 '격(格)'을 통해 보는 것이라는 것을 지난 시간에 알아보았다.그렇다면 오늘은 격(格)을 어떻게 잡는지, 취격법에 대해 알아보자.   사주 명리학, 격(格) 잡는 방법, 취격법 격(格)은 월령을 일간과 대비하여 나온 육신으로 잡는데, 월령이 되는 월지가 인사신해(寅巳申亥)인 생지에 놓였는데, 자묘오유(子卯午酉)인 왕지에 놓였는지, 축진미술(丑辰未戌)인 고지에 놓였는지에 따라 취격 법이 나뉜다. 1. 생지 (寅巳申亥) 생지가 월지에 놓인 사주의 경우 투간과 상관 없이 지장간 중 정기에 해당하는 글자를 격으로 잡는다. 예를 들어 병화(丙火) 일간에 해수(亥水) 월지라면 편관격이 되는.. 2024. 10. 23.
통근(通根)의 이해(통근, 투간, 투출, 득세) 통근(通根), 투간(透干), 투출(投出), 득세(得勢)에 대해 알아보자.  사주를 보거나 명리학을 공부하는 분들은 톤근, 투간, 투출, 득세라는 말을 들어본적이 있지만 정확한 개념을 정립하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위 4개의 개념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  통근(通根)의 이해(통근, 투간, 투출, 득세) 1. 통근(通根)통근(通根)이란 통할 통(通)과 뿌리 근(根)을 사용하며, 천간의 오행이 지지 또는 지장간에 같은 오행이 있는 경우를 말한다.  2. 투간(透干)투간이란 통할 투(透)를 사용하여 통근과 반대로 지지 또는 지장간의 오행이 천간에 드러난 것을 말한다.  3. 투출(投出)투출은 천간에는 있으나 지지 또는 지장간에 없는 오행을 말한다. 4. 득세(得勢)득세는 천.. 2024. 10. 22.
사주 명리학에서 격(格)이란 무엇일까? (길격? 흉격?) 사주 명리학에서 격(格)이란 무엇인지 알아보자. 사주 상담을 받거나 인터넷으로 검색을 하다 보면 길격, 흉격이라는 말을 듣는 경우가 있다.  "이 사주는 길격이라서 좋다."거나, "흉격이라서 나쁘다."는 등의 소리도 들리는 경우가 있는데, 믿을게 못된다.  길격이든 흉격이든 그 쓰임에 따라 다른 것이지 나쁘고 좋고가 없기 때문이다.  그럼 본격적으로 사주 명리학에서 격(格)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겠다.  사주 명리학에서 격(格)이란? (길격? 흉격?) 사주에서 사람의 신분 또는 위치, 지위를 본다 하여 격식 격(格)을 쓴다. 지난 시간에 배운 사주 명리학의 육신 또는 십신과의 관계에서 '나'라는 사람의 역할을 '격(格)'을 통해 보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월령을 일간과 대비하여 나온 육신을 격으로 보며 해당.. 2024. 10. 21.
육신과 정(正), 편(偏) #01. 육신의 정과 편, 정인·편인 특징 앞선 포스팅에서는 육신(六神)에 대해 소개를 하였다.  육신(六神)이란 나(일주)를 기준으로 자신이 생하는 오행(인성), 생을 받는 오행(식상), 극 하는 오행(재성), 극을 받는 오행(관성), 자신과 같은 오행(비겁)이 있다고 하였으며, 이를 통해 가족이나 사회생활에서의 관계, 성장환경 등을 알아볼 수 있다고 하였다.   이번 시간에는 육신의 정(正)과 편(偏)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육신과 정(正), 편(偏) 정(正)이란 바를 정(正)자를 쓰며 뜻 그대로 바르고 안으로 굽는 다는 의미를 갖으며, 자신(일주)의 음양과 다른 음양을 갖는 육신을 말하며, 정재, 정관, 정인이 있다. ※ 자신과 같은 오행에서 음양이 다른 경우 겁재라 하며, 자신이 생하면서 음양이 다른 오행은 상관이라 한다. 편(偏)은 치.. 2024. 10. 17.
사주명리학, 육신(六神)의 종류와 특징 앞에서 사주명리학에서 육신이 어떤 것인지 간단히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육신의 종류를 다시 확인해보고 그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주명리학, 육신(六神)의 종류와 특징 1. 인성(印星)  - 인성은 나(일간)을 생해주는 육신이다. 도장 인(印)을 사용하며, 나(일간)을 가르치고 양육하는 후견인과 같은 존재다.   - 가족으로는 어머니가 이에 해당되며, 직장에서는 상사라고 할 수 있다.    - 유년기의 인성은 부모로부터 생활양식을 배우는 것을 의미하며, 청년기에는 자기계발을 위한 지식 쌓기를 의미한다.   - 인성의 특징은 모성애, 정해진 규칙, 도덕을 좋아하며, 노동 보다는 생각과 지식으로 활동하는 것을 선호한다.  2. 비겁(比劫)  - 나(일간)과 같은 육신으로 견줄 비(比)와 위협할 .. 2024. 9.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