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사주 명리, 신살 정리 - 관귀학관(官貴學館)

by 나이더 2025. 5. 17.

관귀학관(官貴學館)이란 명예와 학문이 있는 건물이라는 뜻을 갖는데, 즉, 학문에 뛰어난 재능을 가졌다고 보는 신살이다. 

문곡귀인, 문창귀인, 학당귀인 등 학문적 재능이 있는 지를 보는 신살 중 하나로, 특히 사주 내 관귀학관(官貴學館)이 있는 경우 학문과 직업에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관직이나 직장에서 승진이 빠르다고 본다. 

 


관귀학관(官貴學館) 보는 방법

 

일간을 기준으로하여 음/양간 구분 없이 오행의 관성을 양간의 장생이 있으면 관귀학관(官貴學館)인다.

 

甲/乙의 관성 중 양간은 경(庚)이며, 丙/丁의 관성 중 양간은 임(壬), 戊/己는 갑(甲), 庚/辛은 병(丙), 壬/癸는 무(戊)가 일간의 관성(양간)에 해당한다. 

 

각각의 장생지를 찾으면되는데, 갑(甲)은 해(亥), 병(丙)은 인(寅), 무(戊)는 인(寅), 경(庚)의 장생은 사(巳)이며, 임(壬)은 신(申), 이 장생지에 해당한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일간 甲/乙 丙/丁 戊/己 庚/辛 壬/癸
관귀학관

 


관귀학관(官貴學館) 예시

 

아래 사주는 갑술년 무진월 경인일 경진시에 태어난 사주이다. 

 

 

일간이 경(庚)으로 인(寅)이 관귀학관에 해당하며 일지에 인(寅)이 있어 관귀학관이 있는 사주이다. 

 

만약 해당 지지 내 형, 충, 파, 해가 되면 관귀학관의 작용과 효과는 감소한다

 


이전 포스팅 바로가기

 

 

12운성에 따른 직업 변화, 나에게 맞는 직업은?

오늘은 12운성에 따른 직업 변화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2운성이란 천간과 지지가 만났을 때 천간의 상태를 보는 방법으로 음양오행의 생성과 성장, 소멸의 과정을 12단계로 나누어 관찰한 뒤 각

inseol.com

 

 

아침 공복에 먹으면 좋은 음식 7가지 – 하루를 건강하게 시작하는 비결

아침 공복에 먹으면 좋은 음식에 대해 알아보자. 아침에 일어나면 몸이 무겁고 피곤하고, 야식을 하거나 저녁에 라면을 먹으면 몸이 부어서 움직이는 것까지 불편해지는 경우가 있다.  아침을

inseol.com

 

 

자기 화에 못 이겨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주

자기 화에 못이겨 극단적 선택을 하는 사주에 대해 알아보자.  주제가 상당히 무서운데, 자기 사주에 이런게 있을 경우 조심하자는 의미에서 작성하는 것이며, 혹시 오늘 설명하는 사주에 해

inseol.com

 

댓글